마늘 재배법
난지형 마늘
겨울이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주로 심으며, 마늘을 심으면 바로 싹이 터서 지상부로 줄기가 나온 상태에서 겨울을 나게되며 6월경에 수확.
저장성이 낮아 당해 12월까지 저장할 수 있으며, 통이 크고 매운 맛이 덜함.
주로 재배가 용이한 스페인산 등 외국 종자를 들여와 귀화시킨 마늘로서 보통 마늘을 심기 전에 토양에 제초제를 뿌리고 재배.
대서마늘(스페인), 남도마늘(중국 상하이 가정백), 자봉마늘(인도네시아)이 대부분 이며
대서마늘(스페인마늘)은 스페인에서 수입하여 1983년 창녕에서 시험재배후 1986년부터 보급하기 시작한 마늘. 남도마늘은 1976년 홍콩에서 수입하였으며 8쪽 ~ 10쪽이다. 자봉마늘은 재주도에서 재배하며 4월 햇마늘은 대부분 자봉마늘. 대서,자봉은 10쪽 ~ 15쪽으로 크기가 토종에 비해 고르지 않다.
1. 마늘 심는 시기 : 9월말 ~10월상순
2. 마늘밭 만들기(평이랑으로 만든다)
- 2주전에 석회뿌리고 흙뒤집기, 두둑높이 20㎝이상되도록 깊이갈이
- 파종1주전 퇴비, 복합, 칼슘.유황비료, 후치왕(흑색썪음균핵병),토양살충제,토양살균제 넣고 로터리.
- 이랑에 수분이 충분히 공급된후( 물을 충분히 뿌린후) 비닐 멀칭을 해 놓는다.
3. 마늘선별 및 소독
- 소독하기전 24시간 정도 물에 침지(싹이 균일하게 올라오게 하기 위함, 휴먼 타파)
- 하루전에 종자소독 약(살균제 + 살충제 혼용)에 침지 ※물20리터, 베노람40g, 만류포20ml, 스미치온20ml
※ 싹이 나지 않은 마늘은 잘라서 단면을 보면 생장점이 살아있으면 늦어도 무조건 발아됨
※그늘에 말려서 심으면 미끌거리는 불편을 줄일수 있다.
※ 1접(5.3kg정도)700인편 발생, kg당130인편 정도 발생
- 유공비닐1m당 7.2 유공줄
- (예시) 20M ×7.2유공줄×7공 = 1,008공(인편), 1,008인편 ÷130인편 = 7.7㎏종구 소요
4. 심는방법
- 마늘 파종전날 오후에 물을 충분히 공급.
- 소주병,유공크기의 나무막대, 둥근 쇠파이프에5cm(집게손가락2마디)를 표시한후 5cm만큼 눌러준다.
- 마늘을 구멍에 쏙 넣고 뿌리가 땅에 밀착 되도록 살짝 눌러 준다.
- 뿌리가 밑으로 똑바로 가도록 심고
- 파종후 물을 흠뻑 주어 토양과 식재된 마늘의 빈 공간을 줄여주어 발아촉진
- 마지막으로 2센티 정도의 흙을 덮어준다.
5.관리
- 파종후 2 ~3일간격으로 물주기
- 겨울에 가뭄대비로 12월부터 2월까지는 한달에 1회 물주기.
- 2월중 고자리파리, 선충, 작은뿌리 파리, 흑색썩음병 예방 살균. 살충제 관수(살포)
3월초 양파 노균병 , 고자리방제. 잎마름병, 검은무늬병
3월말~5월말 녹병, 파좀나방 방제
- 2월말 이전 1차 시비(요소) , 3월15일 2차시비(NK) , 3월말 3차시비(NK)
- 5월 초순이면 마늘 쫑이 올라 오면 바로 잘라준다. (마늘 통 굵게함)
- 5월 마늘쫑 올라오는시기 황산가리 물1말에50g 10일간격 3회 엽면시비
- 5월 마늘쫑 올라오는시기 락스레귤러 물1말에 2뚜껑(20ml) 녹병방제(주1회)
- 4월과 5월은 마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시기이므로 10일 간격으로 충분히 물주기
- 5월 20일 이후는 관수를 금지 (마늘 통의 육질을 단단히 함)
- 6월초순 칼슘 엽면시비(저장성 높이기 위함)
6. 수확
- 난지형 마늘은 6월 초, 한지형 마늘은 6월 말이 수확 적기이지만 품종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있기 때 문에 잎 끝부터 1/2 또는 2/3 정도 마를 때가 수확 적기다.("예" 마늘잎이 7개 있다고 하면 4개 이상이 말랐을 때)
- 마늘의 수확시기를 조절해야 하는 이유는 수확 시기가 너무 빠 르면 크기는 작고 수량이 적어 지며 저장성이 약해지고 너무 늦으면 벌어진 마늘이 발생해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
- 3일이상 맑은날 택해서 수확
- 밭에서 햇볕에 3일정도 말린다(너무 오래 말리면 마늘이 익어 물렁거리며 누렇게 변색됨)
- 마늘대를 바싹 자르면 마늘이 벌어진다(2 ~3cm 남기고 자른다)
-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마늘망을 걸어두고 1달이상 말린다.
마늘의 크기 구분
건조된 마늘을 기준으로
대(지름6.5cm 이상), 한접의 무게는 7kg 정도
중(지름5.5cm이상) , 한접의 무게는 5kg 정도
소(지름4 cm 이상) 이라고 함. 한접의 무게는4kg 정도.
종이컵 윗면의 지름이 7cm , 밑면의 지름이 5cm .
홍산 마늘
https://www.youtube.com/watch?v=SiiAkaydAQc
https://www.youtube.com/watch?v=ppLCWIzFkLA
홍산 품종의 주요 특성은?
주요 특성을 보면 잎은 녹색이며, 초형은 개방형이고, 마늘 통 모양은 원통형이고, 겉껍질색은 유백색이다. 식물체 초세가 강하여 병에 대한 저항성이고, 재배하기가 쉬우며, 수확 시 뿌리가 쉽게 끊어져 인력 수확 시 노동력 절감이 가능하다. 수확기는 기존 품종보다 7∼10일 정도 늦은 만생종 품종이다. 인편은 재배지역이나 크기에 따라 다르나 난지재배 9.3쪽, 한지재배 6.7쪽이다. 마늘 구 무게는: 한지재배 35.3g(재래종 32.6g), 난지재배 53.5(남도 43.8g)이다. ‘홍산’ 마늘 끝 부분에 녹색반점이 있는데 이것은 크로로필 성분으로 기능성 성분을 가지며, 지금까지 품종은 이와 같은 특징이 없어 ‘홍산’을 국내품종과 외국 수입 품종을 구별하는 마커로 활용될 수 있다.
성분은 어떠한가?
‘홍산’ 마늘은 다른 마늘에 비해 조단백질 성분이 많고 미량원소인 인, 마그네슘, 칼슘, 아연, 망간 성분도 10∼20% 이상 많이 함유돼 있다. 특히, 마늘 주요 기능성분 중 하나인 알리신이 kg당 1.89mg으로 다른 마늘 1.31mg보다 높다. 항산화 기능이 있는 총 페놀은 100g당 117.99mg, 총 플라보노이드는 100g당 18.62mg이 들어 있어 다른 품종보다도 30% 이상 높게 나타났다.
농가 재배시 유의점은?
만생종 품종으로 재배지역에 알맞은 파종 및 수확시기를 준수해야 하고 특히 수확기 이전에 조기 수확 시 수확량 감소가 다른 품종보다 심하다. 마늘종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수량 감소가 타 품종에 비해 크므로 마늘종 출현 7∼10일 후 제거 하는 것이 좋다. 초세가 강하므로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거나 웃거름을 늦게까지 주면 수확시기가 늦어진다. 바이러스에는 강하나 녹병에는 대서 수준으로 방제가 필요하다. 난지, 한지 겸용으로 전국재배가 가능하나 기상환경에 변화 따라 스펀지 마늘 발생 할 수도 있으므로 지나치게 큰 종구나 조기 파종을 하지 않아야 한다.
출처 : http://www.hort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11
1.질소 시비량을 줄인다.
2.봄철 "녹병"에 약하므로 소나무 꽃이 피는 시기(4월초 부터,4월말 부터는 파좀나방 혼합살포)에 2 ~3회 방제(칼슘, 유황혼합)
3.4월초 봄가믐때 와 기온이25도이상 지속되면 충분한 관수(30분 이상 관수)
4.수확은 6월10일경 마늘을 뽑아 보아서 뿌리가 활력을 잃어 쉽게 뽑히는 6월20일사이에 수확
(뽑아보고 분화가 완전히 일어났을때 수확)
5.마늘 밭에서 3일 정도 말린후 걷어서 1달이상 바람통하는 그늘에서 말린후 수확
6. 유황과 칼슘 주기적 엽면시비
마늘 녹병
잎에 처음에는 황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황적색으로 변한다. 진전되면 감염부위가 융기되고 균열되어, 적황색의 분말이 분출되며, 5~6월 수확기에는 회색 내지 흑색의 병반(동포자층)이 형성된다. 심한 포장은 잎 전체가 주황색으로 변하며 말라죽는다.
1.온도가15도이하로 기온이 낮고 비가 자주내리면 발생
2.녹병은 거름기(비료) 가 부족하면 발생
3.농약은 "메트코나졸"계통의 "킹스타(유제)"를 물 20리터당10밀리.
킹스타: 마늘 흑색썩음균핵병,고자리파리 파종전 토양분무처리, 뿌리응애는 월동후 토양관주
4.마늘 녹병은 발병 1달전인 3월초 부터 예방적 방제(잠복기간1달)10일간격 경엽처리
5.양파 노균병은 발병초 7일간격 경엽처리
발생환경
병든 부위에서 하포자나 동포자 형태로 월동하여 다음해 1차전염원이 된다. 봄과 가을에 저온이 계속되고, 비가 많으면 발생이 많다. 해에 따라 발병정도가 매우 다르며, 비료분이 부족하여 쇠약해지면 발생이 심해진다
양파 재배방법
1. 종류
- 백색양파 :자색양차에 비해 맛과 저장성이 뛰어남
- 조생종 : 4월 ~ 5월 수확
- 만생종 : 6월 ~ 7월 수확, 저장성과 내한성이 강함.
2. 밭 만들기
- 다비성 작물로 비옥해야함.(비료 효과가 큼)
- 2주전 석회를 뿌려 흙 뒤집기.
- 2주후 퇴비, 복합, 요소를 뿌리고 이랑을 만든후 후라단,또는 후치왕 살포.
- 유공비닐 멀칭함.
3. 심는시기
- 10월 말 ~ 11월 초(정식시기 준수)
- 최저기온4도이상, 평균15도 이상.
4. 심는 방법
- 굵기5미리 이하, 키25센티, 줄기수 4매
- 3센티정도(손가락 1마디) 심는다.
- 정식후 반드시 물을 충분히 준다.
- 곧게 심고 잎을 잘라 심지 않는다.
- 식 거리는 15센티
5. 웃거름 및 겨울철관리
- 겨울철 초기 생육동안에는 질소질 비료 시비(추대 방지)
- 겨울동안 주기적으로 따뜻한 날 오전에 물을 주고 오후에 지온이 오르게 한다.
- 2월하순,3월 중순, 2차례 요소비료(평당60그램정도) 살포
6.주요 병.충해 관리
- 노균병(쟂빛곰팡이병) :3월중순 ~ 4월중순
- 잎마름병 : 5월(마늘과 같음)
- 흑반병 : 4월 ~ 5월 (질소 부족 등 영양부족 원인)
7. 비대기 물주기
- 4월~5월 까지는 10일 간격으로 충분히 물을 준다.
8. 수확시기
- 양파가 쓰러진후 양파줄기가 80% 말랐을때 수확한후 7일 다시건조하면 저장성이 우수.
- 줄기가 넘어진 가운데도 양파는 잎줄기의 영양을 받아 비대를 계속 함.(도복후10일 ~ 15일 수확)
-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금 일찍 수확 하는 것이 좋다고 함.
- 줄기는 5~10cm( 검지 손가락 길이가 7cm정도임) 남기고 자르는 것이 저장성이 좋음.
마늘,양파병증세
▼마늘녹병
▼마늘노균병
▼마늘 검은무늬병
▼양파 노균병